"오감만족, 감성쑥쑥" 놀이교육
운영목표
1) 놀이와 교육을 접목한 프로그램을 통한 핵심역량 함양
2) 놀이교육을 통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
운영방침
1) 놀이 교육을 위한 실내외 놀이 환경을 구성한다.
2) 학년별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운영한다.
3) 교사 역량 강화 연수를 통하여,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실질적인 운영을 돕는다.
세부 추진 계획
영역 | 내 용 | 대상 | 시기 |
---|---|---|---|
인지놀이 | ∙ 학생의 수준, 흥미, 발달단계 등을 고려한 학년별 학습 놀이 프로그램 전개 ∙ 독서교육과 연계한 책 놀이 ∙ 협업 능력을 기반으로 한 모둠 놀이 활동 ∙ 인성과 창의성을 키우는 보드 게임 활동 |
전학년 | 수시 |
감성놀이 | ∙ 학급별 상자 텃밭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및 관찰노트 작성 ∙ 교내 생태 체험, 학교 식물 QR코드 자료 만들기 등 ∙ 근린 공원 숲 체험 및 숲 놀이 |
전학년 | 연중 수시 연중 |
신체놀이 | ∙ 골목놀이: 사방치기, 딱지치기, 달팽이집짓기 등 ∙ 전래놀이: 윷놀이, 제기차기, 굴렁쇠놀이, 투호놀이 등 ∙ 모래놀이: 모래를 이용한 촉감놀이를 위한 모래놀이 공간 확보 및 구축 ∙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피구장, 달팽이 놀이 등의 바닥 라인 적극 활용 ∙ 1학년 전통놀이수업 운영: 학급당 연간 4시간 실시 |
전학년 〃 〃 〃 1학년 |
연중 |
창의놀이 | ∙ 스마트기기, 컴퓨터와 놀이를 접목시킨 프로그램 계발·운영 ∙ 교과와 연계한 소프트웨어 교육 활동 ∙ 놀이를 통한 정보통신윤리교육 |
전학년 5~6학년 전학년 |
수시 |
기대 효과
1) 인지놀이와 창의놀이를 통해 창의적 사고 역량이 높아질 것이다.
2) 감성놀이를 통해 심미적 감성 역량이 높아질 것이다.
3) 다양한 놀이를 통해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이 함양될 것이다.
"책 나눔 생각 키움" 독서교육
운영목표
1) 다양한 독서 활동을 통해 독서에 대한 흥미 유발과 독서를 생활화하는 태도 형성
2) 독서를 통한 창의적 사고력 및 학습력 신장 도모
3) 풍부한 정서 함양 및 건전한 가치관 형성
운영방침
1) 학생들이 개인의 욕구와 흥미에 맞는 책을 효율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독서 환경을 정비한다.
2) 도서관 활용수업시간에 독서의 생활화를 장려하며 임장지도를 통해 올바른 독서 습관을 기르게 한다.
3) 사제동행 독서시간 운영을 통해 하루 30분 이상 책 읽는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4) 다양한 독서 행사를 추진하여 학생들의 독서 의욕을 높이고, 책 읽는 학교문화를 정착시킨다.
세부 추진 계획
영역 | 내 용 | 대상 | 시기 |
---|---|---|---|
독서 교육 | ∙ 교과와 연계한 학년별 고전 권장 도서 읽기 ∙ 사제동행 독서시간 운영 - 하루 30분 이상 책 읽기 ∙ 빛고을 독서 마라톤 적극 참여 권장 ∙ 도서관 활용 수업 - 책을 활용한 여러 가지 책 놀이 전개 -"서광글방사랑"쓰기를 통한 책 읽기 및 독후활동의 장려 ∙ 학생, 학부모 독서·토론 동아리 운영 - 도서 읽고 의견 나누기 - ‘아이사랑 책사랑’ 프로그램 운영(매주 화요일 독서 시간) ∙ 학교, 학급 홈페이지를 활용한 독서 교육 - 도서 추천, 독서 퀴즈, 독서 감상문 탑재 등 |
1~6학년 1~6학년 1~6학년 1~6학년 1, 2학년 1~6학년 |
3~2월 4~11월 3~2월 3~2월 3~2월 |
독서 행사 | ∙ 도서관 행사 추진 - 책의 날 행사, 방학 독서 교실 운영, 서광글방사랑 제작 및 배부 ∙ 권장도서를 활용한 학년군별 독서교육 행사 추진 - 1, 2학년군 : 동화책 읽어주기 및 독서퀴즈 활동 - 3, 4학년군 : 시 바꿔쓰기 - 5, 6학년군 : 독서골든벨 ∙ 전학년 북콘서트 행사 추진 ∙ 독서 인증제 운영 |
1~6학년 1~6학년 |
4, 6, 8월 11월 |
기대 효과
1) 다양한 분야의 독서를 통해 독해력, 논리적 사고력, 인문학적 소양 등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2) 꾸준한 독서 활동을 통해 독서 흥미가 유발되고 독서를 생활화하게 될 것이다.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1교 1인성 브랜드
운영목표
1) 모든 학교 구성원이 함께 실시한다.
2) 마음을 담은 인사를 나누며 서로의 관계성 회복을 목표로 한다.
운영방침
1) 학기 초 상호 인사의 방침을 안내하여 학교 구성원이 모두 동참하도록 한다.
2) 인사의 의미를 생각하며 공손하게 인사한다.
3) 학기 말 생각 나눔 활동을 통해 1년 활동의 의미를 되새긴다.
세부 추진 계획
영역 | 내 용 | 대상 | 시기 |
---|---|---|---|
인사 방법 안내 |
∙ 먼저 인사하는 사람이 ‘사랑합니다.’ 라고 하면
인사를 받는 사람이 ‘감사합니다.’ 라고 말하며 인사 ∙ 학급별로 학생들에게 인사 방법 수시 지도 ∙ 학부모에게 안내장으로 1교 1인성 브랜드에 대한 홍보 |
전교직원 전학년 학부모 |
연중 3월 |
인사 활동 |
∙ 만날 때마다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인사 | 학교 구성원 |
연중 수시 |
생각 나눔 활동 |
∙ 1년 동안 인사 나누기 활동을 통해 느낀 점 나누기 | 전학년 | 12월 |
개선 활동 |
∙ 학교교육과정 토론회를 통한 활동 반성 및 개선, 장양점 찾기 | 교직원 | 11월 중순 ~1월 |